스프링(Spring) 프레임워크로 몽고DB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이야 많겠지만, 이번 방식은 JDBC 방식과 유사한 방식(java-driver)으로 직접 제어를 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을 보여준 후, 추후 MongoTemplate 방식을 활용하여 Connection을 제어를 하지 않는 방식을 포스팅하고자 한다. MongoDB는 모든 데이터가 JSON구조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기존 DB에서처럼 테이블을 미리 설계하고 데이터를 넣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없이 DB가 만들어지고, 콜렉션만 만들어졌다면 자유롭게 데이터를 넣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몽고DB의 장점은 자유롭게 데이터를 넣을 수 있어서 개발 공수가 짧다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보통 DBA 혹은 DA롤을 가진 사람이 깊게 고민을 하여 데이터..
일반적으로 RDB 같은 경우, 다양한 접속 및 관리툴들을 지원해준다 대표적으로 Quest 사의 토드(Toad)와 같은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를 통해 현재 DB에 어떤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지 확인 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쉽게 핸들링 할 수도 있다. 몽고DB도 이와같은 여러가지 관리툴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Robomongo라는 관리툴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DB 관리 툴인 토드 https://www.quest.com/products/toad-for-oracle/ 이번 포스팅 주제인 Robomongo 사이트에 들어가면, Studio 3T라는 프로그램과 Robo 3T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Robo 3T를 선택한다. 설치 단계 https://robomongo.org/download 자신에 맞는 OS와 프로그램을 입맛에..
몽고DB(MongoDB)란 하둡(Hadoop)의 전성기를 열어주며 빅데이터 시대를 알려주기도 했으며, 현재는 Node.js 등과 함께 가볍게 사용하는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NoSQL DB이다. 설명에 대한 부분은 다른 포스팅에서 하기로 하고, 이번 포스팅은 설치에 관련된 것만 적어보기로 한다. https://www.mongodb.com/download-center 몽고DB의 다운로드 페이지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Cloud, Server, Tools라는 메뉴가 나오는데 Server를 선택한다. Server를 선택 한 후, MongoDB Community Server를 클릭 후, 원하는 Version과 본인에 맞는 OS그리고 Package를 선택한다. 필자는 이런류의 설치는 기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