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 버블(Filter Bubble) 개념 필터 버블(Filter Bubble)은 사용자의 정보(위치, 클릭, 검색 이력 등)를 통해 개인화된 결과물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필터링된 정보만을 접하게 되어 마치 거품처럼 사용자를 가둬버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용어는 미국의 정치 참여 시민단체 '무브온'의 이사장인 엘리 프레이저(Eli pariser)의 생각 조종자들(원제 The Filter Bubble, 2011)이라는 저서에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즉 어찌보면 개인화(Personalize)의 함정이 될 수 있는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은 유튜브등을 통해서 특정 정치 성향의 내용을 보다보면, 온통 그 정치 성향의 컨텐츠로 도배를 하여 모든 사람들이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 착각에 빠지곤 합니다. 필터..
아마존 추천 시스템 미국에서 가장 추천을 많이 활용하는 기업 3개(넷플릭스, 구글, 아마존) 중 아마존(Amazon) 역시 넷플릭스와 구글처럼 독자적인 모습의 추천 사례들을 만들어 왔습니다. 사실 아마존은 다른 업체보다 추천 시스템을 빨리 사용했으며, 협업 필터링을 무려 2003년부터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리포트는 아마존이 2003년도에 낸 리포트로 제목을 보면 알 수 있지만 Item-to-Item 기반의 협업 필터링을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마존은 협업필터링 중 특히 Item-to-Item에서 많은 효과를 보고 있다고 하는데 매출의 35% 이상을 추천 알고리즘으로 내고 있다고 말을 하기도 했습니다. 아마존은 현재 전자상거래가 가장 큰 매출을 차지하고 있지만, Prime Vide..
최근들어 유튜브(Youtube)의 "오늘도 알 수 없는 유튜브 알고리즘이 나를 이 영상으로 끌고왔다" 라는 댓글이 밈처럼 퍼져서 추천의 상징처럼 되어가고 있지만 추천시스템을 만드는 사람에게는 넷플릭스(Netflix)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퀀텀 이론(Quantum Theory) 넷플릭스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으로 큰 재미를 보았지만 어느 순간 추천의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만든 퀀텀 이론(Quantum Theory)라는 것을 만들어 콘텐츠를 분류하였다. 더이상 분류할 수 없을 정도로 쪼개는 양자(Quantum) 단위로 7만 6000여개의 자체적인 장르를 만든 후 내부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서 영화별로 수많은 분류 태그를 만들고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이렇게 엄청난 ..
추천시스템의 개념 추천 시스템(Recommender System)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와 대상 데이터(ex: 상품, 영화 등등)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가장 적절한 대상 데이터를 추천하는 시스템 적절한 추천을 만들기 위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연구를 해왔고, 한 사이트내에서는 적게는 하나부터 많게는 몇백개(혹은 천개 이상일수도)의 알고리즘이 존재하기도 한다. 미국을 대표하는 FANG(Facebook, Amazon, Netflix, Google) 기업들 중, 추천 서비스를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아마존(Amazon)과 넷플릭스(Netflix)이고 특히 넷플릭스=추천서비스라는 기업으로 알려지게 되면서 그동안 국내에서도 등한시 했던 추천에 대한 연구..